강사로 경력 전환을 하려고 하는 과정에서의 어떤 동기가 있었고, 어떤 어려움이 있었으며, 지금 전환 후의 만족도를 조사하여 대학원 과제로 제출하려고 한다. 이는 나의 커리어 전환을 위한 일이기도 하다. 70년대와 80년대는 그냥 미래가 보였다. 직장에 취직하면 연공서열에 의해 올라가고 어느 정도의 시간이 흐르면 혼인하고 집을 사고 노년에 편안히 노는 "개미와 베짱이"의 개미의 삶이었다.
그러나, 2000년대를 지나오면서 세상은 변하고 그 변화에 순응하지 못하면 도태하고 결국 인생의 뒤안길로 가는 삶들을 살아가고 있다. 지금은 더 그런 시대인 것 같다. 연공서열이 아니고 능력위주의 삶이고 조직내에서 뿐만이 아닌 같은 조직간에도 서로 경쟁해야 하고 그 경쟁에서 밀리면 끝나는 그런 세상들을 살고 있다. 그런 와중에 명퇴다 조기 퇴직이다 하면서 60세의 정년을 채우는 일들이 점덤 더 어려워 지는 현실이고 이를 목도하는 입장에서 보면 남의 일이 아니다. 내가 속한 조직은 존버하면 문제가 생겨 면직되지 않는 다면 60세의 정년은 채울 수 있어 보인다. 하지만, 정년을 채우기 위해 삶은 정말 재미 없고 혼자의 노력으로 가능한 것도 아니고 조직 전체의 변화를 가져가기에는 너무 많은 시간들이 있다.
애드거 샤인은 조직문화를 암묵적인 신념으로 표현하고 있다. 이 신념은 빙산의 바닥에 뿌리 내리고 있어 쉽게 바뀌지 않는다고 한다. 부단한 노력과 하고자 하는 열정이 함께 상부에서 부터 하부까지 모두 노력해야 겨우 조금씩 조금씩 녹여내는 것이다. 조직문화에 대해서는 따로 책은 책을 Review 할 예정이다. 이런 많은 노력들 속에 과연 나에게 남는 것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 상처뿐인 승리, 그리고 나와 함께 살아가는 가족들은 나의 고통을 보면서 괴로워 할 것이고 안타까워 말도 못할 것이다. 아이들은 점점 더 커 나가는데 아이들과의 시간을 보내기 보다는 조직의 성장을 위해 사람들을 만나고 매일 반복되는 술자리에 집에 오면 항상 붉은 얼굴로 가득한 아빠의 모습만이 남아 있을 것이다. 과연 이런 삶이 내가 바라던 삶이었는가? 밖에서 족조금은 힘들었어도 집에서 활기차게 보내야 하지만 그렇지 못하다. 가족간의 대화도 점점 줄어 들어만 간다.
재미있는 삶을 살아간다면 가족간에 즐거움도 가득한 남은 삶들을 살 것 같은 생각이 점점 강해지면서 조금은 힘들어도 그런 삶을 살고 싶다는 생각을 대학원 과제로 제출하려고 한다. 그런 것들을 통해 어떤 어려움과 과정들이 있었는지를 인터뷰 하고 내용을 정리하여 나의 커리어 전환에 대한 준비과정으로 생각하고자 한다.
1. 경력전환을 선택한 동기는 무엇이었는지요?
2. 경력전환을 하면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 것은 무엇인가요?
3. 경력전환을 하면서 가장 어려운 경험은 어떤 것인지?
4. 경력전환을 하면서 왜 강사를 선택했는지?
5. 강사의 경험은 있었는지? 있었다면 어느 정도 였는지?
6. 1인 대표 사업자가 되었을 때 어떤 경우의 수들이 있었는지?
7. 강사로 경력전환하면서 처음의 만족도는 어느 정도 였는지? 그리고 지금의 만족도는 어느 정도 인지?
8. 만족도가 높다면 만족 요인은 무엇인지? 만일 만족도가 떨어진다면 그것은 어떤 요인인지?
9. 경력전환하면서 어떤 구체적인 실행계획을 가지고 진행했는지?
10. 강사로 경력 전환 과정에 있어 강사는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