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관념5

돈은 노력의 결과로 가치를 만든다. 아이가 물었다. "엄마, 아빠 돈이 왜 맨날 없다고 해?"  이 물음에 쉽게 답할 수 있는 부모가 얼마나 있을까? 어디서부터 설명을 해야 할지 참 난감하다. 돈이 얼마나 어렵게 벌리는지, 소중한지를 아이는 이해할 수 있을까? 아이들에게 "아껴 써?"라고 돈을 주는 경우들이 있다. 하지만 정작 어떤 과정을 돈이 들어오는지, 어떻게 아껴 써야 하는 지를 알려주지 못한다. 제대로 된 경제관념을 가지려면 '노동에 대한 가치'가 중요하다. 돈이 그저 은행 ATM기에서 자동 출력되어 나오는 것이 아니라 부모가 열심히 땀 흘려 전다는 사실을 가르칠 필요가 있다.   주도적인 삶을 위한 경제교육 어릴 적 용돈을 받으면 무조건 기뻤다. 문방구점에 가서 화약총을 사고 그것을 터뜨리며 놀았다. 돈은 더디에서 왔는지 중요하지.. 2025. 3. 12.
우리 아이, 돈과 잘 지내고 있나요? 청소년들과 돈에 대한 이야기를 한 적이 있다. 이 친구들은 "돈은 그냥 쓰면 되는 거 아닌가요? 어차피 부모님이 주시는데요."라고 당연하게 제게 말했다. 아이의 눈 빛에는 진지함이 있었지만, 금융기관에 근무한 나로서는 당혹스러웠다. 그리고 질문을 던져 보았다. "아이들은 돈에 대해 무얼 배우고 있을까?"라는 것이었다. 돈은 그저 숫자로 적힌 것이나, 단순히 종이로 된 것이 아니다. 그 안에는 삶의 가치와 선택, 책임이 담겨 있는 매우 중요한 것임에도 그 아이는 그렇게 말했다. 그 아이뿐만이 아니었다. 종종 아이들과 이야기를 하다 보면 대부분의 아이들의 반응이었다. 청소년기야말로 돈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습관이 중요한 시기이다. 학교에서 영어, 수학을 열심히 공부하면서도 정작 인생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 2025. 3. 8.
자녀에게 돈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과 부모의 역할 "여러분들이 바라보는 돈은 어떤 것이었나요?"  나의 어릴 적 돈은 그저 문방구에서 과자를 사고, 동전이 있으면 오락실에서 갤러그를 하는 것이었다. 고등학교 시절에는 500원에 영화 한 편을 보고, 300원이면 3시간 동안 만화방에서 무한대로 만화책을 읽을 수 있었다. 하지만 큰돈은 항상 부족했다. 학교에 내야 하는 수업료, 공부를 하고 배워야 해서 특강을 신청했지만 납부가 늦어져 선생님에게 불려 갔던 일들이 있었다. 그래서 돈은 열심히 벌어야 하는 것이었다. 반면에 적게 들어가는 돈은 쉽게 써도 되는 것이었다. 지금은 돈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나? 지금의 돈은 없어서는 안 되는 것이고, 조직에 있을 때는 적은 비용들은 쉽게 결정했다. 하지만 지금은 적은 비용도 쉽게 선택하지 못한다. 퇴직을 하고 나니 쉽.. 2025. 2. 28.
부모가 알아야 할 청소년의 돈 버는 법, 어떻게 도울까? 청소년들이 자라서 세상을 살아가기 위해서는 돈을 벌어야 한다. 그럼 어떻게 벌어야 하는가? 청소년들은 무한한 가능성들을 가지고 있다. 다만 부모가 바라보는 관점과 다를 뿐이다. 보통의 부모들은 자녀가 학업에 집중하고 미래를 위해 준비하는 것이 미래에 돈을 잘 벌 수 있다고 생각한다. 나 또한 그 범주에서 크게 벗어나지는 않았다. 다만 고등학교 친구들을 보게 되면 공부를 적당히 잘했던 친구들은 그저 안정적인 직장에서 소소한 삶들을 살아가고 있다. 하지만 친구들과 관계가 좋았고, 다양한 선택들을 했던 친구들은 오히려 더 좋은 위치에서 돈을 벌고 있는 모습을 보게 되어 크게 공부를 열심히 하라고 하지는 않았다. 요즘 청소년들은 자신이 가진 능력을 활용해 수익을 창출하기도 한다. 이는 사회에 나가 독립적인 삶을.. 2025. 2.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