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복리3

한 톨의 쌀이 만드는 기적, 복리 체스판 위의 쌀알 이야기는 복리의 놀라운 힘을 보여주는 우화 중에 하나이다. 많은 나라에서 쌀, 밀, 옥수수 등으로 회자되고 있는 이야기이다. 체스를 발명한 현자가 왕에게 64개의 칸에 첫 번째 칸에 쌀 한 알, 두 번째 칸에는 두 알, 세 번째 칸에는 네 알시 매일 두 배로 늘려 상을 달라고 했다. 왕은 그저 쌀 몇 톨에 불과한 부분만을 생각하고 흔쾌히 승낙한다. 시간이 흘러 쌀의 양이 늘어가는 것을 본 왕은 10일이 되어 10칸에 도달하자 쌀 한 줌이던 것이 20일에 20칸에 도달하자 약 10kg이 되는 것을 보고 놀라게 된다. 이 체스판의 이야기가 복리 교육의 중요한 이유는 기하급수적 성장의 개념을 직관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처음에는 변화가 미미해 보이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폭발적인 성장을 보이는 .. 2025. 6. 12.
아이의 인생을 바꾸는 복리 교육법은? 복리의 마법을 아이에게 전하는 것은 단순히 숫자를 가르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아이의 인생관을 바꾸는 근본적인 교육이다. 많은 부모들이 아이에게 "돈을 아껴 써라"라고 말하지만, 정작 왜 아껴야 하는지, 그 돈이 어떻게 자라나는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못한다. 복리는 바로 그 '왜'에 대한 명확한 답을 제공한다. 시간이 만드는 기적, 복리 복리를 이해하려면 단리를 알아야 한다. 단리는 원금에 이자가 붙는 것이다. 그럼 복리는 원금과 이자를 합한 금액에 다시 이자가 붙는 것이다. 예를 들어, 100만원을 연 10%의 이자로 저축한다면, 단리는 매년 10만원씩 이자가 발생하고 10년이면 200만원이 된다. 하지만 복리의 경우는 첫해 110만원, 둘째 해에는 121만원, 셋째 해에는 133만원.. 2025. 6. 10.
시간을 친구로 할지? 적으로 할지?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사람들은 항상 입에 달고 다니는 말이 있다. "나 시간이 없어. 시간이 왜 이렇게 빨리 가지. 벌써 내일이......." 하루에 보내는 24시간이다. 어떤 이에게는 시간이 없어가 되기도 하고 어떤 이는 시간이 안 가고 뭘 할지를 고민한다. 시간은 우리 삶의 동반자이다. 이 동반자라는 녀석이 사람을 헷갈리게 한다. 세상이 시작되면서 시간은 모든 것을 지배해 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시간 속에 살면서 성장과 변화를 하고, 시간 속으로 사라지게 된다. 해야 할 일은 많고 시간은 너무나 부족한 모습으로 살고 있다. 그동안 많았던 시간 동안 다른 것들을 우선순위에 두고 하다 보니 이제는 무자비한 폭격을 하고 있다. 시간은 우리에게 꿈을 이루고 목표를 달성하게 하게 하기도 한다. 동시에 시.. 2024. 2.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