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청소년 머니코칭

부모가 먼저 배워야 할 돈의 태도 1

by Coach Joseph 2025. 2. 21.
728x90
반응형

  돈은 삶에서 없어서는 안 되는 필수 요소이다. 하지만 돈을 대하는 태도는 인간이 살아가는 삶의 방향을 완전히 다른 방향으로 향하게 한다. 돈과 친구가 된다면 현명하게 돈을 다룰 수 있게 되고 삶이 풍요로워질 수 있다. 자신이 원하는 삶도 만들어 갈 수 있는 기반이 된다. 돈의 노예가 된다면 돈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고, 삶이 어려워진다. 돈이라는 포승줄에 묶이어 끌려다니는 삶을 살게 된다. 나의 삶이 그랬다. 20살에 돌아가신 아버지를 대신해서 집안을 돌봐야 했고, 삶을 사는 과정이 돈과 결부되어 있었다. 친구와 노예의 차이는 어디에서 올까? 이 차이는 돈을 버는 금액의 차이가 아니다. 돈을 바라보는 태도와 돈을 다루는 방식에 있다. 

 

  부모들이 맺는 돈과의 관계는 자녀에게도 전달이 된다. 돈을 주도적으로 활용하는 부모는 아이들에게도 건강한 경제관념을 심어준다. 하지만 돈에 끌려만 다니는 부모는 아이들에게도 돈을 두려워하거나, 과소비하게 만드는 습관을 남길 수 있다. 나는 어떻게 아이들에게 심어 주었는가? 항상 돈이 없다는 이야기를 하면서도 해결해 주는 모습을 보였다. 그래서인지 돈이 없다는 이야기를 하여도 별로 믿지 않는 분위기이다. 퇴직을 하고 나서야 아이들이 조금 생각하는 분위기이다. 이것이 성인이 되어 어떤 결과로 나타날지는 아직 모른다. 그래서 글을 쓰는 것이다. 나와 같은 무모들이 나오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에서이다. 돈을 통제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돈과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 살필 필요가 있다. 그리고 돈에 대해 어떻게 가르칠지에 대해 생각해야 한다. 

The money mindset that parents must learn first.

 

  돈을 다루는 법이 중요하다.

  돈과 친구가 된다고 하니 어감이 "돈만 밝히는 속물"같은 느낌이 든다. 그러나 돈과 친구가 된다는 것은 긍정적인 의미로 "삶을 더 나나지게 만드는 도구"로 생각해야 한다. 돈은 삶을 위한 선택권을 넓혀주는 도구일 뿐이다. 선택권을 넓히기 위해서는 돈에 대한 원칙이 필요하다. 먼저 수입보다는 적게 써야 한다. 수입보다 항상 많이 쓰게 되면 어떻게 되는가는 말하지 않아도 모두가 알게 된다. 결국 파산의 길을 걷게 되고, 많은 세월 동안 기다려야 한다. 돈이 항상 모자라지 않게 해야 한다. 돈의 흐름도 파악해야 한다. 나중에 이야기하겠지만, 가계부를 쓴다거나, 자신의 재정 상태를 스스로 점검하는 습관을 길러야 한다. 마지막으로 돈을 목적에 맞게 써야 한다. 돈을 무조건 아끼는 것이 능사는 아니다. 때론 돈을 쓸 줄도 알아야 한다. 그래서 목적에 맞는 돈을 써야 한다. 소비, 저축, 투자, 기부에 해당하는 돈을 적절히 목적 있게 쓰는 것이 중요하다.

 

   돈을 위해서 일을 하는 것은 부적절하다. 대부분의 성인들은 자신이 일을 했기에 돈을 번다고 할 수도 있다. 과연 그럴까? 자신이 돈을 위해 일하는 것은 아닌가? 돈이 자신을 위해 일하게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어린이 경제교육을 하면서 아이들에게 설명한 내용이다. 어떤 사람이 사과나무 한그루를 심었다. 첫 해에는 수확이 적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어떻게 되는가? 스스로 성장해 가면서 사과는 주렁주렁 더 열리게 된다. 물론 그대로만 방치한다면 결코 수확량이 늘어나거나, 과실이 크지 않는다. 시간과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시간과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우리가 일을 하는 것이고, 나머지는 스스로 사과를 만들어 낸다. 돈이 스스로 일을 하게 하는 시간이 경제적 자유를 얻는 시간이 된다. 50대 중반을 넘어서야 이치를 깨닫게 된 것에 후회가 든다. 좀 더 젊어서 알았더라면 다른 노력들을 했을 텐데 돈을 위해서 일을 했던 것이다.

 

 그러면 돈이 스스로 불어날 수 있도록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바로 저축만 하는 것이 아니라, 투자를 통해 돈이 자라나도록 하는 것이다. 또 적극적으로 금융 지식을 습득하고, 새로운 수익 창출 방법이 있는지 고민해야 한다. 돈을 벌고 소비하는 것뿐만이 아니라, 돈을 유지하고 성장시키는 방법도 배워야 한다. 다음으로 돈을 두려워하지 않고,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는 것이다. 돈을 나쁘고 죄악시하는 것이 아니라, 삶을 풍요롭게 하는 자원으로 생각할 필요가 있다. 대부분의 종교인들은 돈을 이야기하길 어려워한다. 성경에 "부자가 하느님 나라에 들어가는 것보다 낙타가 바늘구멍으로 빠져나가는 것이 더 쉽다."는 말 때문에 부자가 되면 안 되는 것처럼 생각들을 한다. 하지만 성경 곳곳에 재물에 대한 이야기들이 나온다. 잠언에 "거저 얻은 재물은 줄어들고, 조금씩 모으는 재물은 늘어간다"는 말이 있다. 이는 정직하고 성실하게 재물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함을 가르치는 것이다. 또 재물이 선물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돈과 친구가 되면 돈은 삶을 자유롭게 만들어 주고, 원하는 것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된다. 돈과 친구가 된다는 것은 돈을 내 삶의 조력자로 삼으라는 것이다. 돈이 많다고 해서 반드시 행복한 것도 아니고, 돈이 부족하다고 해서 무조건 불행한 것도 아니다. 돈과의 관계 설정이 중요하다. 돈을 위해 일하는 것이 아니라, 돈이 나를 위해 일하도록 해야 한다는 사실을 너무 늦게 깨달았다. 돈을 목적으로 삼고 살면서 인생의 본질을 잃어버리기도 했었다. 올바르게 활용하는 법을 배우고, 삶의 도구로 바라보지 못했다. 돈에 의해 자신을 억누르게 하는 것이 아닌 자유를 주는 친구임을 인지할 수도 없었다. 누구도 그것에 대해 이야기를 해주는 사람이 없어서였다. 그럼 돈을 어떻게 해야 할까? 돈을 죄악시하거나 불필요한 걱정을 만들어야 하는 가? 그렇지 않다. 현명하게 다루는 방법을 배우고, 돈을 관리하는 원칙을 세워 꾸준히 실천해야 한다. 소비, 저축, 투자, 기부를 목적에 맞게 활용하는 연습도 필요하다. 이것이 진정한 경제적 자유의 길로 가는 길의 시작임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

 

<내일 2편에서 계속..........>

 

https://bit.ly/HappyGrowth

 

백근시대

ChatGPT 강의 스마트폰 대인관계소통 코칭리더십(리더십) 강의 라이프코칭, 비즈니스코칭 매일 글쓰는 코치 머니프레임 머니코칭 은퇴자 변화관리 청년 현명한 저축관리 매일 글쓰는 코치 지금은

xn--6i0b48gw7ie1g.my.canva.site

지금은 백근시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