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정조절4 감정이 행동 되기 전에 물어야할 3가지는? 유시민 작가는 말실수를 줄이기 위해 세 가지 질문을 코칭을 받았다고 한다. “이 말이 옳은가?”, “이 말이 꼭 필요한가?”, “이 말이 친절한가?” 이 기준 꼭 염두해 두고 말을 한다고 한다. 한마디를 꺼내기 전에, 그 말이 정말 필요한 말인지, 진심이 담겨 있는지, 누군가에게 상처가 되지는 않을지를 되돌아 보는 것이다. 이 기준은 말에만 해당되지 않아 보인다. 감정이 일렁이고, 그 감정을 행동으로 옮기고 싶을 때도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질 필요가 있다. 나의 감정은 지금 진심에서 비롯된 것일까? 지금 이 감정을 표현하는 것이 필요한가? 그리고 이 표현은 나와 타인 모두를 지킬 수 있는 건강한 방식일까? 그래서 나는 감정과 행동 앞에서 다음 세 가지 질문을 정리해보았다. 진심인가? 지금 필요한가? 건강한.. 2025. 5. 20. 흔들릴 때, 다시 긍정을 선택하는 힘 누구나 감정의 기복을 경험한다. 어떤 날은 별다른 이유 없이 기분이 좋다가도, 예상치 못한 말 한마디에 기분이 가라앉기도 한다. 때로는 스스로 감정을 다스릴 수 있다고 믿지만, 작은 사건 하나가 우리의 하루를 좌우하기도 한다. 심리학에서는 이를 회복탄력성(resilience)이라고 부른다. 즉, 감정이 무너지는 순간에도 다시 회복할 수 있는 힘이다. 회복탄력성을 기르기 위해서는 몇 가지 습관이 필요하다. 감정을 즉시 표현하기보다는 한 번 정리해 보고, 긍정적인 선언을 반복하며, 감사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 이 세 가지 요소는 감정의 균형을 잡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긍정을 낙관적인 태도로 오해한다. 하지만 긍정이란 현실을 무조건 좋게만 바라보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현실이 힘들 때, 부정적인 감정.. 2025. 3. 17. 최고의 삶을 위한 감정 조절 기술은? 인간이 감정에는 다양한 것들이 있다. 기쁨, 슬픔, 분노, 걱정, 불안으로 감정은 시도 때도 없이 올라온다. 삶의 일부이고, 어떤 이도 피할 수 없는 부분이다. 진정으로 중요한 것은 이런 감정에 휘둘림을 당하지 않아야 한고 빠르게 자신의 감정에 평정심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골린이로 골프를 시작했을 때 함께한 동반자가 골프가 안된다고 채를 던지고, 성질을 내는 것을 본 적이 있다. 함께 한 동반자들은 모두 18홀을 도는 동안 좌불안석이었다. 많은 프로 골퍼들이 항상 좋은 날만 있는 것이 아니다. 때로는 아마추어 만도 못한 샷을 하기도 하고, 멋진 샷을 날려 환호를 받기도 한다. 골프에서 최고의 선수는 실수를 하고 난 후에도 화를 내는 대신 자신의 감정을 빠르게 회복하고 다음 샷에 집중하는 선.. 2025. 1. 25. 좋은 대화를 위한 3가지는? 모임을 하면서 간혹 느끼는 것이 있다. 왜 사람들이 대화를 하면서 다툼이 일어날까? 조직에서 회의를 하면서 작은 논쟁이 고성으로 이어지기도 하고, 단체에서 크지 않은 문제로 서로 다툼이 일어나고 만다. 대화는 삶 안에서 가장 많이 하는 것이고 중요한 것이다. 서로 이야기를 하고 있다고 해서 이것이 과연 대화일까? 좋은 대화는 상대방의 관계를 돈독히 하고, 서로에게 배려하고 있음을 느끼게 하며, 서로의 생각을 존중한다. 이 과정을 통해 신뢰라는 선물을 가지게 된다. ME 주말을 마치고 나오는 부부님과 대화를 하고 마무리하는 중에 내게 이런 이야기를 전달해 준다. 잠시 나눈 대화였지만 세심한 배려에 감사하다는 것이었다. 잘난 체를 하거나 자랑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자신이 어떤 태도를 가지는가에 따라 상대방도.. 2025. 1. 2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