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문성3

모든 것을 잘할 필요는 없다. 마블영화가 대중적 인기를 얻어가면서 대부분의 마블 영화의 주인공들은 하늘을 날고, 바다 위를 걷고, 물속을 자유자재로 다닌다. 어쩌면 현세대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들이 마블처럼 되고 싶은 욕구가 담겨 있다고 본다. '슈퍼맨 신드롬'이라는 단어를 가끔씩 듣는다. 한 개인이 모든 분야에서 뛰어나야 한다는 단어로 뛰어나지 않으면 안 된다는 압박감을 가지게 한다. 이런 현상은 소설미디어의 영향이 있다.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카카오의 플랫폼에서 사람들이 다양한 성취를 과시하고 있어서 이다. 자신을 표현하는 것으로 성공적인 사업가, 운동선수, 뛰어난 요리사로 현실을 왜곡하여 보여주는 경우들이 많다. 기술의 발전도 영향을 주고 있다. AI로 자동화 기술들이 발달하기 시작하면서 많은 직업들이 사라질 위험에 직면해 있다.. 2024. 11. 8.
프로라고 생각하고 기술을 배워라 기술의 발전 속도가 엄청나게 빨라지고 있다. 자고 일어나면 세상이 변화되는 것을 느낄 수 있을 정도로 바뀐다. 개인은 성장과 성공을 위해 학습하고 기술을 배운다. 단순한 지식을 쌓는 것만이 중요한 것이 아니다. 지식은 누구라고 쌓을 수 있다. 진정한 프로는 스스로 성장을 책임지고 능동적으로 기술을 배우려는 자세가 필요하다. 프로라고 하면 떠오르는 단어들이 있다. 전문성, 숙련가, 월등한 실력 등 다양한 단어가 떠오른다. 프로는 이런 사람들처럼 한 분야에서 뛰어난 사람만을 일컫지는 않는다. 끊임없이 배우고 발전하려는 자세, 최선을 다해 일에 임하는 성장 마인드셋을 가진 사람을 말한다. 현대사회에서 필요한 것이 기술이다. 어떤 분야에서 성공하려면 핵심적인 기술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단순히 기술을 습득하는 .. 2024. 2. 22.
성장스토리를 만들어라 성장스토리를 만들어라. 한직장에서 오랜 시간 리더로 있던 분과 인터뷰를 진행했다. 경력전환을 선택한 동기는 성장하지 못하고 고여 있는 자신을 마주한 때이고, 인생의 2막을 즐겁게 살기 위해서 라고 했다. 퇴사후 기존의 명함은 종이 조가리에 불과 하지 않았으며, 너무 준비가 없었다는 것이다. 1년여의 고민하면서 제2의 커리어를 생각하면 누군가를 돕고 교육을 하는 것과 연결이 되다보니 강의와 코칭은 필수적이라는 생각이 들었다는 것이다. 경력전환 초기에는 N잡러의 모습을 꿈꾸었다는 것이다. 퇴사하면서 자신이 원하는 모습이 프리랜서인지, 1인 기업가인지 분명히 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것은 누가 불러주면 가는 사람인지, 나만의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어서 갈 것인지에 대한 명확한 과정이 필요하다는 것이었고,.. 2023. 5.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