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청소년 머니코칭5

부모가 먼저 배워야 할 돈의 태도 2 삶 안에서 돈을 잘 버는 것과 돈을 잘 다루는 것은 다르다. 아무리 많은 돈을 벌어도 돈을 다루는 법을 모르고 그저 살아간다. 미국에서 복권이 당첨된 후 몇 년내에 파산하거나 재정적인 어려움을 겪는 사례를 들은 적이 있다. 갑작스러운 부가 증가가 되었지만 정작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재정 관리에 어려움을 겪게 되고, 대책 없는 지출과 경험하지 못한 부적절한 투자들을 하고 만다. 갑작스럽게 부가 증가되며, 당첨된 사람은 심리적 부담을 가지게 된다. 기존에 살아왔던 재정 관리 습관대로 돈을 운영하고, 돈에 대한 지식 부족으로 적절한 대응이 어려워진다. 큰 금액을 어떻게 해야 할지 명확한 계획이 없이 지출이 시작되고 자금은 빠르게 소진이 된다.  주변에 있는 사람들도 문제가 된다. 이곳에 투자해라... 2025. 2. 22.
부모가 먼저 배워야 할 돈의 태도 1 돈은 삶에서 없어서는 안 되는 필수 요소이다. 하지만 돈을 대하는 태도는 인간이 살아가는 삶의 방향을 완전히 다른 방향으로 향하게 한다. 돈과 친구가 된다면 현명하게 돈을 다룰 수 있게 되고 삶이 풍요로워질 수 있다. 자신이 원하는 삶도 만들어 갈 수 있는 기반이 된다. 돈의 노예가 된다면 돈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고, 삶이 어려워진다. 돈이라는 포승줄에 묶이어 끌려다니는 삶을 살게 된다. 나의 삶이 그랬다. 20살에 돌아가신 아버지를 대신해서 집안을 돌봐야 했고, 삶을 사는 과정이 돈과 결부되어 있었다. 친구와 노예의 차이는 어디에서 올까? 이 차이는 돈을 버는 금액의 차이가 아니다. 돈을 바라보는 태도와 돈을 다루는 방식에 있다.    부모들이 맺는 돈과의 관계는 자녀에게도 전달이 된다. 돈을 주도적.. 2025. 2. 21.
돈에 대한 첫 기억, 당신은 아이에게 무엇을 물려줄 것인가? 어릴 적 처음으로 돈을 쥐었던 적은 언제인가? 그때 당신의 감정은 어땠나요? 나의 첫 기억은 명절에 받았던 용돈이다. 설에는 세뱃돈이었고, 추석에는 용돈을 받았다. 그저 내게는 같은 돈이었을 뿐이다. 어린 나에게 그것은 행운처럼 느껴졌다. 돈을 받는 일은 그동안 사고 싶었던 것을 살 수 있는 기회라고 생각했고, 신나는 일이었다. 손에 쥐어진 빳빳한 새 돈을 받으면서 무엇을 살까? 어떤 놀이에 사용할까? 행복한 고민과 기대가 있었다. 오백 원짜리 지폐 한 장 만을 쥐고 나머지는 부모님께 드렸지만 기분은 좋았다. 부모님은 "나중에 모아서 줄게"라고 하였고 당연한 것이라 생각했다. 그리고는 문방구로 가서 화약총, 장난감, 종이 딱지들을 샀던 기억이 있다.    시간이 지나면서 그 돈이 내게 돌아오지 않는다는 .. 2025. 2. 20.
청소년 머니 코칭을 함께 쓰려고 하는가? 부모라면 누구나 한 번쯤 이런 고민을 해본 적이 있을 것이다. "우리 아이가 돈을 제대로 다룰 줄 아는 어른으로 자랄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아이에게 올바른 경제 개념을 가르칠 수 있을까?" 청소년을 위한 머니 코칭에 대해 책을 쓰고 싶은 이유를 말했었다. 성인이 되기 전 문제들을 예방할 수 있도록 올바른 경제 개념을 심어 주고 싶은 것이다. 또한 많은 부모들이 경제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고민하는 부분이다. 지금의 아이들은 부모 세대와는 전혀 다른 경제 환경에서 살아가야 한다. 요즘 세대는 돈을 현명하게 운용하고, 필요할 때는 적극적으로 투자하는 능력이 더욱 중요해졌다. 디지털 경제가 발전하면서 전통적인 직업뿐만 아니라, 프리랜서, 1인 창업, 유튜브 크리에이터, NFT, 가상화폐 투자와 같은 다양한.. 2025. 2.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