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백근시대의 삶(50대의 하루의 삶)

소유보다 충분함으로 살아보자.

by Coach Joseph 2024. 4. 21.
728x90
반응형

  우리는 많은 것들을 소유하고 싶은 인간의 욕망 속에 살아간다. 소유라고 하는 것은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소유는 단순히 가지고 있는 것만을 말하지 않는 것 같다. 신분을 소유한 이도 있고, 경제력을 소유하여 자신의 위신을 세우는 도구로 활용되기도 한다. 인간의 삶에서 소유라고 하는 것이 참 많은 것을 내포하기도 하는 구나라는 생각을 해 본다. 더 성취하고, 더 많은 것들을 경험하면서 불만과 경쟁 속에 살아가고 있다. 진정한 행복과 성장은 더 많은 것을 소유한 것에서 오지 않는데도 우리는 더 많은 것을 소유하기 위해 노력하고 애를 쓴다. 물질적 풍요로움이 오히려 외로움과 공허함을 느끼게 한다는 것들을 심심치 않게 보기도 한다. 이것은 가진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가지고 있는 것을 얼마나 소중하게 여기고 만족하는지에 달려 있다는 생각이다. 사회 속에 경종이 필요하다는 생각을 해 보면서 함께 살아가는 공간으로 지혜를 모아 보면 좋겠다. 이런 노력들이 사회가 건강해지고 개인도 건강해지는 것이라고 본다. 

소유보다 충분함으로 살아보자.

 

  끊임없는 욕망

  만성적인 불만들 속에 세상을 살아가고 있다. 매일 다르게 생겨나는 욕망들이 이것을 가중시킨다. 다양한 매체를 통해 "더 좋게, 더 많이"를 외치고 있다. 끊임없이 타인과 비교를 하며 자신이 가진 것을 초라하게 만들고 있고 그것이 과다한 경쟁으로 이어진다. 이런 욕망들이 자신이 가진 것을 만족하게 하기보다는 더 많이 가지고 싶게 만들고 있고 그것을 하지 못했을 때의 절망감으로 삶을 힘들게 한다. 불필요한 경쟁을 만들어 내고 삶의 스트레스를 더 가중시키고 있다. 물론 이런 경쟁들이 있었기에 세상은 발전했다고 할 수 있지만 과다한 경쟁으로 가지기 못한 사람들은 힘들어한다. 한 가지를 가지면 또 다른 한 가지를 가지고 싶은 욕망으로 발전하여 간다. 이런 욕망들이 쌓여가며 인간은 정신건강을 비롯한 부정적인 정서가 팽배해지게 된다. 누군가와 비교를 하면서 우울감, 불안감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끊임없이 바라는 욕망들이 자신의 행복을 방해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더 많은 것을 소유하려고 하는 것이 아니라 더 의미 있는 삶을 어떻게 하면 살 수 있는지를 생각해야 한다. 물질적 충족보다 정신적, 감정적 충족을 위한 삶이 건강한 삶으로 나아가는 길이 된다고 본다.
 

  충분함의 가치를 아는 것이 감사함이다.

  자신이 가진 것에 대한 만족보다는 더 가지려는 것에 대한 압박으로 살아가기에 감사함으로 평화와 만족감을 얻는 마인드 셋이 필요하다. 감사라고 하는 것은 물질적인 것보다는 정신적인 것으로 오히려 삶을 더 풍성하게 만들어 준다. 감사는 현재에 대해 만족하는 것이고 어떤 의미로 살지를 발견하게 한다. 지금껏 욕심을 내면서 불안해했던 이유들이 아마도 충분함이라는 가치를 잊고 더 많이를 생각해서였는지도 모른다. 지금 이렇게 하루하루를 살아가고 한 가지씩 만들어 가고 있는 것에 만족하며 감사하는 마음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는 생각이다. 감사를 실천하는 것은 단순히 '고맙다'라는 것일 수 있다. 일상생활에서 어려움에 얻어지는 것들이 감사함일 수 있다는 생각을 할 필요가 있다. 하나하나 깨달아 가고 있고, 그것을 통해 성장하고 있는 모습을 바라보고 있다. 소유라고 하는 것이 순간에 얻어지는 것이 아니라 많은 노력으로 얻어지는 것이고 그것은 지금 순간에 감사함을 깨달아갈 때 차곡차곡 쌓이게 된다. 감사는 삶의 질을 높이는 방법이 되며 현재의 삶에 더 집중하게 한다. 감사는 삶의 기쁨도 더 크게 느끼게 하고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를 높이게 된다. 이러한 것들이 사회 전반에 퍼지게 된다면 건강한 사회를 만들 수 있지 않을까?


 
  현대사회의 진정한 행복과 만족은 많은 것을 소유해서가 아니라 지금 가지고 있는 것에 대한 충분함과 만족감을 가질 때 얻어진다고 본다. 감사를 실천하는 삶이 만족과 평화를 가져다준다. 정신적, 감정적 건강을 증진시키고, 더 건강한 사회로 나아가기 위해 중요한 것이기도 하다. 모두가 소유의 압박 속에서 산다면 사회는 치열한 과다 경쟁으로 서로 핍박하고 어려운 사회 속에 살아야 한다. 하지만 진정으로 감사하는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이 많이 늘어갈 때, 진정으로 의미 있고 충족된 삶을 영위하게 된다. 이것이 건전한 사회를 만들고 더 나아가 좋은 문화로 자리매김하게 된다. 우리 모두가 지향해야 할 삶은 건강한 삶으로 나아가는 것이기 때문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