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백근시대의 삶(50대의 하루의 삶)

동요속에 찾는 삶의 균형은?

by Coach Joseph 2024. 4. 19.
728x90
반응형

  인간의 내면세계는 참으로 복잡하다. 겉모습에서 내면의 모습을 발견하지 못한다. 얼마나 알 수 없으면 "열길 물속은 알아도 한길 사람 마음속은 모른다"라고 했을까라는 생각이 든다. 밖에서 일어난 사건들은 예상치 못하는 방향으로 발생을 한다. 많은 준비를 하고 세팅을 쉽게 하려고 준비했건만 순간 작동이 되지 않는 스트로보에 당황하고 말았다. 이것을 보신 분들은 어떻게 생각할까?라는 생각이 드니 마음이 복잡해진다. 개인이 정서적 반응을 어떻게 만들어 가는지를 한 번 바라보고 있다. 감정은 생각을 만들어 가고, 생각은 다시 반복되면서 불안을 조장하고 있다. 그런 감정을 버려야 한다. 그런 게 반복이 되면 삶이 힘들어지기 때문이다. 개인이 내면에서 발생되는 것이 외부 사건으로 연결되지 않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삶의 균형

 

  정체성과 가치관을 형성하라.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 따라서 사회와 동떨어져 혼자서 살 수는 없다. 주변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환경에 너무 깊이 있게 반응할 필요가 없다. 자신이 가진 정체성과 가치관을 형성하여 중용을 지키면 된다. 어려운 이야기 일 수 있지만 간단히 말해 자신의 주관을 가지면 되는 것이고, 주변 상황에 동요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수많은 사건들이 정체성에 영향을 미친다. 사건들에 너무 연연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 뚜렷한 자신의 철학과 가치관을 가지게 되면 이런 것들도 해결이 될 수 있다. 단, 오만하거나 자기중심적인 것이 아니라 이타심을 가진 것을 말하는 것이다. 자신만을 바라는 이기심을 가져서는 안 된다. 새로운 사회적 역할들을 수행해 나가면서 매번 주변을 생각한다면 어떤 일도 할 수 없게 된다. 내면세계를 잘 바라보고 사진이 원하는 삶으로 나아가는 것이 중요함이다. 

 

  사건의 정서적 반응

  어떤 사건이 생기면 개인에게 미치는 감정은 크다. 하지만 특정 사전에 개인감정으로 어떻게 만들어가야 하는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일련의 사건은 감정을 유발한다. 감정은 개인의 일상적인 의사결정에 더해 장기적으로 심리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런 감정들이 오래 지속되면 사회적 연대감을 감소히키고 자기 안에 갇히게 된다. 감정적 반응은 심리에 중요한 영향을 주기에 사회 속에서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제거해야 한다. 개인 스스로 감정을 잘 관리하고 건강한 사회로 나아가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감정의 원인을 파악하고 크지 않은 것이라면 빨리 편도체에서 없애야 한다. 세상을 살아가면서 조화롭게 생활할 수 있는 것들이 얼마나 많은가? 스스로 내면에 대한 생각을 하고 차 후에 이렇게 되지 않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그렇지 않아도 세상은 복잡하다. 자신의 내면에서 올라오는 것까지 복잡하게 할 필요가 없다. 사회에서 발생하는 일련의 사건들을 자신의 가치관, 정체성, 감정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생각하고 내면 감정을 균형 있게 유지하도록 해야 한다. 개인은 정체성을 확고히 하고 흔들리지 않는 중심축이 되어야 한다. 가치관과 철학을 바탕으로 선택과 행동을 결정하기만 하면 된다. 감정적 반응은 피할 수 없다. 피할 수 없다면 즐길 줄 아는 방법도 함께 강구해야 한다. 어떤 것을 제시할 수는 없다. 세상을 사는 사람들은 각기 다른 가치관들을 가지고 있어서 이다. 외부에서 일어난 사건을 내면세계로 가져와 확대시키기보다는 자아를 위해 긍정정서를 키워나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결국 이것이 진정으로 의미 있는 삶을 살아가는 방법이 되지는 않을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