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이 감정에는 다양한 것들이 있다. 기쁨, 슬픔, 분노, 걱정, 불안으로 감정은 시도 때도 없이 올라온다. 삶의 일부이고, 어떤 이도 피할 수 없는 부분이다. 진정으로 중요한 것은 이런 감정에 휘둘림을 당하지 않아야 한고 빠르게 자신의 감정에 평정심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골린이로 골프를 시작했을 때 함께한 동반자가 골프가 안된다고 채를 던지고, 성질을 내는 것을 본 적이 있다. 함께 한 동반자들은 모두 18홀을 도는 동안 좌불안석이었다. 많은 프로 골퍼들이 항상 좋은 날만 있는 것이 아니다. 때로는 아마추어 만도 못한 샷을 하기도 하고, 멋진 샷을 날려 환호를 받기도 한다. 골프에서 최고의 선수는 실수를 하고 난 후에도 화를 내는 대신 자신의 감정을 빠르게 회복하고 다음 샷에 집중하는 선수이다. 삶에서도 이와 같은 것이 행복한 사람들은 좌절이나 분노에 오래 머물러 있지 않고 자신이 감정을 조절한다는 것이다.
긍정심리학에서 말하는 행복이란 "감정을 통제하는 능력과 회복탄력성"을 말하고 있다. 행복한 삶을 살기 위해서는 감정을 억누르는 것이 아니라 그 감정이 어디에서 오는지를 보고, 감정을 빠르게 정리해 가야 한다. 더 나아가 그 감정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야 한다. 긍정 심리학자인 마틴 셀리그먼(Martin Seligman)은 "행복은 감정을 피하는 것이 아니라, 부정적인 감정에서 빠르게 회복하는 능력에서 비롯된다"라고 말했다. 부정적인 감정에 매몰되어 있는 시간이 길어지면 길수록 회복이 더디고 행복으로 가기 어렵다는 것이다. 행복한 삶이라고 해서 불행이나 스트레스가 없지 않다. 모두가 가지는 불안, 스트레스, 불행을 가지고 있지만 감정을 얼마나 건강하게 받아들이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자신의 감정을 다시금 평온한 상태로 돌려놓는 과정이 필요하다.
감정조절 능력이 행복의 핵심
많은 이들이 행복한 삶을 살아가기 위해 부정적인 감정을 느끼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렇지만 현실은 어떤가? 당장에 허리도 안 좋은데 감기가 다가와 화가 날 수도 있다. 현실적으로 분노, 슬픔, 좌절이 닥치면 그 감정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이런 감정을 얼마나 빠르게 회복하고 자신의 삶에 집중할 수 있는가이다. 골프 방송을 보다 보면 유명한 골퍼들도 경기 중 실수를 하는 경우를 본다. 1m도 안 되는 퍼터를 여러 번 한 경우도 보았다. 지나치게 감정적으로 대처하면서 채를 던지고 심하게 화를 내면서 순위권 밖으로 밀려나고 말았다. 그러나 자신이 감정을 다스려 최선을 다한 선수는 우승은 하지 못했어도 순위권으로 들어오는 경우도 있다. 짧은 시간이지만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고, 다음 샷에 집중하면서 안정을 찾아갔기 때문이다. 삶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스트레스나 어려움이 닥쳤을 때, 감정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이 곧 행복으로 연결이 된다는 믿음을 가지고 살아야 한다.
요즘 나의 상황을 보면 결코 웃으면서 삶을 살아가기 어렵다. 경제적인 부분은 붕괴되어 가고 있고, 몸은 통증으로 인해 힘들어하고 있다. 하지만 긍정적으로 살려고 "감사하다"는 이야기를 하고, 자신의 감정을 바라보면서 마음을 Relax 하게 하려고 하면서 바뀌도 있다. 몸도 조금씩 회복되어 가고 있고, 웃음을 보이기도 하고, 삶의 여유를 만들어 가고 있다. 넬슨 만델라(Nelson Mandela)는 "분노는 독과 같다. 그것을 마음속에 품고 있으면 결국 자신을 해친다"라고 했다. 과거 분노를 표출한 상황에서 몇 개월을 힘들게 보냈던 적이 있다. 그 영향으로 건강은 안 좋아졌고, 결국 조직을 떠나는 일까지 발생한 것이다. 감정을 억누르려고만 했다. 그러다 보니 더 힘든 삶을 살아야 했고, 가슴에 응어리만 남게 되었다. 분노라는 감정이 자연스럽게 자신이 마음 밖으로 나오게 하는 것은 그 감정을 인정하는 것이다. "내가 화가 나 있구나. 그래 이런 부분에 화가 났어"라며 말이다.
이것과 함께 해야 하는 것이 자기 암시가 중요하다. "이것도 결국 지나갈 거야. 더 좋은 일이 생길 거야."라고 하는 것이다. 물론 쉽지 않은 것이고 시간이 필요하다. 나는 이것을 "감정에 물타기"라고 말하고 싶다. 아무리 더러운 물도 지속적으로 깨끗한 물을 공급하게 되면 더러운 물이었는지를 모르게 된다. 마찬가지로 자신의 감정에 긍정의 자기 암시라는 깨끗하고 청량한 물을 공급하는 것이다. 그 물이 함께 뒤섞이면서 자연스럽게 더러워진 감정이 사라지게 된다. 물론 간헐적으로 눈에 들어오는 부유물들이 있다. 그것까지 하려면 정원에 잡초를 없애는 작업을 해야 한다. 직접 뽑아내거나 약을 쳐서 그 잡초들을 없애 주어야 한다. 바로 "감정 회복력"이라는 도구를 활용하는 것이다.
행복한 사람들의 감정 회복력
행복한 사람들은 긍정적인 일을 많이 겪었기 때문에 행복한 것은 아니다. 부정적인 생각들을 빠르게 정리하고, 극복하여, 평온한 상태를 만들어 놓는 능력이 뛰어난 것이다. 이를 심리학에서는 "회복탄력성(Resiliense)"이라고 한다. 행복한 사람들에게는 다른 사람들이 없는 이것을 가지고 있다. 마이클 조던(Michael Jordon)의 경우 수없이 많은 실수를 했다. 하지만 그는 좌절하지 않았고, 다음 경기를 하는 것에 집중한 것이다. 지나간 것은 자신이 어떻게 할 수 없는 부분이라고 여긴 것 같다. 그는 "나는 실패를 받아들일 수 있다. 모두가 무언가에 실패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난 시도도 하지 않는 것은 받아들일 수 없다."라고 말했다. 이는 자신의 감정에 대해 인정하고, 흔들리는 순간이 오더라도 자신은 다시 시도하겠다는 의미이다. 이렇게 스스로 자신이 흔들리고 있는 감정을 빠르게 회복해 가면서 성장의 기회로 삼은 것이다.
행복한 사람들이 자신의 감정을 회복하는 방법으로 많이 이야기하는 것이 있다. 자기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관점을 유지하는 것이다. 즉, 스스로를 비난하지 않는 모습이다. 자신을 비난하는 것만큼 가장 비참한 것은 없다. 하지만 많은 이들은 실수나 실패를 하고 나면 스스로를 자책하고 비난한다. 그렇게 하면 좋은 성과로 이어지는가? 결코 그렇지 않다. 이미 지나간 일이고 쏟아진 물일 뿐이다. 주어 담을 수도 없고, 과거로 갈 수도 없다. 따라서 비난을 하기보다는 "이 상황에서 내가 배운 것은 무엇인가?"를 생각해야 한다. 자신이 생각할 수 없으면 주변 사람들을 통해서라고 배워야 한다. 행복한 사람들은 어려움을 겪으면서 혼자 끙끙 앓기보다는 주변 사람들에게 자신이 감정을 이야기하고 도움을 요청한다. 이것을 바탕으로 자신이 나아갈 방향과 감정에 두려워하지 않고 균형을 잡아가는 것이다.
행복한 삶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자신의 감정을 억누르는 것이 아니라, 그 감정의 흐름을 잘 관찰해야 한다. 감정의 흐름을 관찰하면서 삶의 일부로 받아들이기도 하고, 자연스럽게 흘러가도록 해야 한다. 그것을 도와주는 것이 글쓰기이다. 감정에 대해 자신이 글을 쓰면서 패턴을 분석하고 감정을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을 찾게 된다. 내가 그렇게 하고 있다. 매일 쓰는 글들이지만 나의 감정들을 만나고 표현하고, 좋은 방향으로 이끌어 가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운동도 도움이 된다. 운동을 하는 시간에는 아무런 생각이 들지 않고, 그곳에 몰입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감정적인 균형을 주는 물을 붓는 행위이다. 마지막으로 감정 조절한 롤모델을 찾아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주변에 있는 사람이든, 책을 쓴 사람이든, 그들의 삶에서 감정을 잘 조절한 사람이 있다면 그를 롤모델로 삼아 그 태도를 본받는 것이다. 이는 부정적인 감정이라는 정원에서 잡초를 뽑아내는 마지막 과정이고 본다.
결론적으로 행복한 삶을 살기 위해서는 감정을 억누르거나 피하는 것이 아니라, 감정을 빠르게 인식하고 회복하는 능력을 키워야 한다는 것이다. 다양한 감정을 경험하면서, 어떻게 받아들이고 조절하는가에 따라 행복이 달라진다. 부정적인 감정에 머무르는 시간을 줄이고, 긍정적인 감정을 부어서 빠르게 회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긍정 심리학자인 마친 셀리그먼이 강조한 것처럼 감정을 피하지 말고, 회복탄력성을 키워야 한다. 누구나 삶에 크고 작은 어려움들이 닥친다. 그때마다 부정적인 감정들만을 쌓아간다면 삶은 피폐해진다. 하지만 자신에게 긍정적인 자기 암시를 해 주게 되면 빠른 회복과 함께 성장해 갈 수 있게 되다. 자신의 감정을 잘 표현할 수 있는 사람이 정신적으로 건강한 사람이 된다. 행복한 사람들은 감정 조절을 통해 평온한 상태를 유지한다. 감정조절하는 방법에는 글쓰기, 운동, 롤모델을 찾는 것들이 있다. 자신의 감정을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순간에 몰입을 하며, 롤모델이 습관과 태도를 본받아 노력하는 것이다. 행복한 삶은 감정의 흐름을 이해하고, 조절함으로써 더 나은 삶으로 나아가게 할 뿐만이 아니라, 자신의 삶을 지속적으로 성장시키고 발전하게 한다. 이것이 행복한 삶으로 나아가는 중요한 열쇠가 된다.
"지금 당신의 감정은 어떤 상태인가요?"
백근시대
ChatGPT 강의 스마트폰 대인관계소통 코칭리더십(리더십) 강의 라이프코칭, 비즈니스코칭 매일 글쓰는 코치 머니프레임 머니코칭 은퇴자 변화관리 청년 현명한 저축관리 매일 글쓰는 코치 지금은
xn--6i0b48gw7ie1g.my.canva.site
지금은 백근시대
'백근시대의 삶(50대의 하루의 삶)'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복한 삶은 쉼표가 있어야 한다. (8) | 2025.01.27 |
---|---|
행복한 삶을 위한 조화로운 멜로디를 만들어야 한다. (10) | 2025.01.26 |
지금 내 삶은 어떤 햄버거인가? (7) | 2025.01.24 |
행복은 자신만의 것 이어야 한다. (7) | 2025.01.23 |
왜 행복해야 하는가? (9) | 2025.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