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백근시대의 삶(50대의 하루의 삶)

마음챙김을 훈련하면 좋은 것은?

by Coach Joseph 2024. 1. 20.
728x90
반응형

  세상사 많은 일에 우리는 반응을 하면서 살아간다. 특히 부정적인 면이 내게 다가오면 더욱 큰 반응을 하게 된다. 그리고는 부정편향에 서서히 휩쓸려 들어가 헤어 나오지 못하는 경향들이 있다. 부정편향에 잡혀 먹히지 않고 긍정편향으로 가는 길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지만 코끼리를 생각하지 말라고 하면 더 많이 코끼리를 생각하는 것처럼 부정편향에 한번 잡히기 시작하면 도망가기 어려워진다. 심리적 불안감들이 지속되다 보면 공황장애와 우울증에 휩쓸리 쉽다고 글을 썼다. 아래글을 참조하면 좋겠다. 이런 상황에 가장 좋은 것이 마음 챙김 훈련이라고 한다. 마음을 챙긴다는 것을 훈련한다는 것은 긍정편향으로 바꾸는 것이 아니라 자연이 부정편향을 가라앉히고 생각밖으로 밀어내는 것을 말한다.

 

왜 코끼리는 머릿속에서 나가지 않을까?

 

왜 코끼리는 머릿속에서 나가지 않을까?

언제 부터 인지는 생각도 나지 않는다. 미래를 과도하게 걱정을 하거나, 과거의 생각을 곱씹거나 최악의 시나리오를 상상하는 등 생각의 꼬리의 꼬리를 물어 머릿속을 가득메우게 된다. 이런 것

funnybg.tistory.com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부정편향된 생각이 사라짐을 느끼게 된다.
마음챙김

 

  스스로가 과잉사고에 갇혀 있어서 이고 이를 우리는 떨쳐 내려고 노력을 하지만 그럴수록 더 큰 수렁으로 들어가는 것이다. 불안한 감정이 올라오고 심장 박동이 빨리 뛰어오르는 것이 바로 이런 과잉사고의 증상으로 나타난다. 긍정의 한마디라고 던지는 것으로 해결이 되는 듯했지만 어느 순간 떠오르는 과잉사고가 내게는 힘들었던 시간이었나 보다. 이제야 그때 써놓은 글을 다시 보면서 내 안에 있던 과잉사고가 결국 나를 공황장애로 몰고 갔다는 생각이 든다. 부정편향에서 벗어나지 못한 것이다. 긍정편향으로 편도체에 자극을 지속적으로 주어 보아도 어려웠던 모양이다. 그 커다란 시련이 지금의 내가 된 모양이라고 생각이 든다. 

 

  이런 과잉사고, 부정편향에서 벗어나기 위해 마음 챙김이 필요한 것이다. 일단 멈출 수 있어야 한다. 멈출 수만 있다면 우리는 성공한 것이다. 편도체에 있는 반응이가 반응하고 그곳으로 쉽게 빨려 들어가지 않도록 우리는 훈련이 필요하다. 이런 훈련이 진행이 되면 우리는 내적변화를 경험하게 되고 행복을 느끼게 된다. 행복감을 높이기 위한 훈련이 바로 마음 챙김이라고 한다. 

"삶의 질을 개선하기 하려면 선택의 질을 개선해야 한다. 선책의 질을 개선하려면 그러한 선택을 유발하는 생각과 감정의 질을 개선해야 한다. 생각과 감정의 질을 개선하려면 의식의 질을 개선해야 한다. 이 모든 것을 바꾸려면 의식을 바꿔야 한다"
                                                                                                                                        '바버라 드 안젤리스'

 

  마음 챙김 훈련으로 행복이 올라가고 자존감이 높아진다. 마음 챙김 훈련을 한다는 것은 바로 몰입이라는 것이다. 우리가 청소를 하면서 아무 생각 없이 하고 있는 행위, 지금 내가 글을 쓰면서 오로지 컴퓨터 자판에 집중하고 모니터에 집중하고 있는 이런 상태가 바로 마음 챙김이 되는 것이다. 그러고 보니 글을 쓰는 것이 마음 챙김이다고 강조해 왔던 것은 바로 몰입을 하고 있어서였던 것이다. 이 시간만큼은 오로지 글을 쓰는데 집중하고 있다. 누군가 방해도 받지 않는 시간에 적고 있어서 더욱 몰입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방황할 필요 없이 지금 가진 삶에 집중하고 몰입하는 것이다. 

 

  과잉사고와 부정편향 사고에 반응하지 말고 대응해야 한다. 대응한다는 것은 바로 멈추는 행위를 해야 한다. 멈추고 상황을 바라보고서 상황을 면밀히 관찰해야 한다. 윗사람이 아랫사람을 지적하고 친구와 싸우고, 심한 부부싸움을 한 후에 부정편향이 극대화된다. 이러으로써 우리 인생은 점점 피폐해져만 가게 된다. 그래서 대응을 해야 하는 데 이것이 마음 챙김이고 명상이라고 한다. 마음 챙김은 우리가 선택할 수 있도록 이끌어 주게 된다고 한다. 마음 챙김 훈련에 대해 많은 이들이 책을 내었고, 수많은 글들이 존재한다. 일상에서 가장 중요한 마음 챙김이 감사일기라고 하는 것이다. 지난 12월 중순부터 감사일기는 아니더라도 감사 키워드를 매일 3가지씩 적고 있다. 이런 감사키워드만 적는 것만으로 우리는 마음 챙김을 하고 있는 것이다. 

 

  아침 미라클 모닝이라고 한 때 떠들썩하게 진행한 사람들이 많이 있다. 아니 지금도 미라클 모닝에 대한 것들이 많이 올라오고 자기 계발서들에 종종 등장한다. 아침을 30분 동안을 진행한다면 분명 인생이 달라질 것이라고 생각한다. 지속적으로 해야 한다. 나처럼 매일 쓰는 글이 자동적이 습관이 되어야 한다. 이런 과정이 없다면 결코 달라지지 않게 된다. 보통 아침에 일어나 많은 것들을 하고 있는 듯 하지만 그다지 다른 패턴으로 움직이지 않는다. 그런 아침에 미라클 모닝을 하면서 아침 명상을 하는 것이다. 이것이 마음 챙김의 시작이다. 자신이 가진 감정으로 조절함으로써 새로운 아침을 맞이하게 되고 신선한 하루의 시작이 되는 것이다. 우유를 마시면서 신선한 것을 찾는 것처럼 우리 마음도 아침의 신선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감사일기 또는 감사문장 또는 감사 키워드를 하루에 3개씩 찾는다는 것은 참으로 어려운 일이다. 하지만 찾으려고 노력하면 수많은 것들을 찾을 수 있다. 무사히 차를 타고 집에 온일, 집에 오는데 오래간만에 친구를 만난 일, 버스를 놓칠 뻔했는데 버스가 오늘따라 늦게 도착한 일, 수없이 많은 일들이 감사한 일이 되는 것이다. 나는 저녁에 감사한 일을 적고 있다. PDS다이어리를 쓰면서 제일 좋은 일 3가지, 안 좋은 일 3가지를 끊임없이 작성 중이다. 설혹 오늘과 어제, 어제와 그제 썼던 감사일기 일지라도 그것은 대단히 소중한 것이고 감사하는 태도를 가져야 한다. 자신은 사랑하지 않으면서 타인을 사랑한다는 거짓이거나 기만행위를 하는 것이다. 자신을 사랑하는 마음을 가짐으로써 우리는 타인을 사랑할 수 있는 힘을 기르고 자신감과 자존감을 높이게 된다. 

 

  자신이 가진 강점을 스스로 찾아봄으로써 좀 더 자신을 명확하게 바라볼 수 있게 되고 더 사랑할 수 있는 힘을 얻게 된다. 이런 습관이 지속된다면 부정편향에 휩쓸려 가지 않게 된다. 현재 있는 현실을 그대로 바라보고 그것을 수용해 감으로써 우리는 성장을 하게 되고 긍정편향으로 바뀌게 되는 것이다. 자신의 행동에 실망감과 자책감을 가지기보다는 좀 더 자신을 수용하는 마음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고 그런 수용 위에서 마음 챙김을 하는 것이다. 호흡을 내뱉고 호흡을 들이마시면서 마치 빈 물 잔에 물을 딸고 그 물을 마시는 것처럼 그리고 잠시 빈 물 잔을 내려놓을 때처럼 호흡을 잠시 멈추는 것이다. 우리는 이것을 명상, 즉 마음 챙김이라고 한다. 마음 챙김을 하면서 안될 때는 "잠시 내가 흐름을 놓쳤구나"라고 생각하고 다시 하는 것이다. 이런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부정편향된 생각이 사라짐을 느끼게 된다. 잠시 눈을 감고 한번 호흡을 한번 해보자. 그 호흡에 맞추어 몸의 힘을 빼고 시간을 투자해 본다면 마음 챙김이 되고 긍정편향이 되어가는 자신을 발견하게 된다. 

 

  "왜 코끼리는 머릿속에서 나가지 않을까?"라는 글에서 긍정적인 선언을 해보자고 했다. 그런 긍정적인 선언이 힘들었던 것이 바로 입에서는 신나게 시작해 보자고 하지만 결론적으로 마음은 그렇지 못했던 것이다. 마음은 "지금 기분 별로라고, 불안하다고, 힘들다고" 외치고 있었던 것이다. 이런 부정편향이 그렇게 아침에 외쳐대었지만 결국 벗어나지 못하게 된 것이다. 마음 챙김은 인간 내면에 존재하는 고요함이다. 이 고요함을 호흡으로 인식하고 있다 보면 순간 "그래 때가 되었어. 그래 한번 해봐. 그래 너는 멋진 녀석이야"라고 선택의 순간이 다가오게 된다. 지금부터 우리는 의식을 개선하기 위해 호흡을 하고 마음을 챙기는 노력을 해야 한다. 잠시 호흡을 가다듬고, 들숨과 날숨으로 숨을 크게 들이마시고, 내뱉는 연습을 한번 해보자. 인생이 달라지게 된다고 본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