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일을 하면서 지속적인 힘이 부족해 결국 접어 버리는 사람들이 많이 있다. 화초에 물을 주고 뒤돌아서면 꽃이 피어 있는가? 그렇지 않다는 것을 다들 알고 있다. 지속적인 힘을 기른다는 것은 바로 정원에 꽃을 피우는 것과 같다. 지속적인 힘은 육체적 힘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정신적으로 버틸 수 있는 힘을 말하는 것이다. 우리가 세상을 살아가면서 쉬운 일들만 있지 않다. 어렵고 힘들고 난관을 헤쳐 나가야 하는 일들도 부지기 수이다. 이러한 경우에 우리는 쉽게 포기하고 만다. 마주치는 스트레스를 생각하며, 실패의 염려로 인하여, 생각지도 못한 변수들이 닥쳐와서 멈추어 버린다. 지속적인 힘은 의식적으로 노력하는 것이 필요해 보인다. 자신이 끊임없이 하고 있고, 이것을 점진적으로 만들어 가는 것을 말한다고 본다. 운동선수들이 하루아침에 경기력이 일취 월장 되지 않는다. 만일 그렇다면 연습생 신화와 같은 일들은 일어나지도 않는다. 따라서 정신적이고 감정적 것들에 대한 지속적인 힘을 기르기 위해 자기 계발도 하고 자기 관리를 하는 것이다. 이런 것들을 통해 내면의 힘을 기르게 되고 삶을 변화시켜 나가게 된다.
지속적인 학습의 힘을 길러야 한다.
우리가 무언가를 배우는 데에는 분명한 이유들이 있다. 지속적인 힘을 개발하기 위해서도 분명 배워야 한다. 학습은 새로운 정보나 기술만을 습득하는 것을 말하지 않는다. 자신이 가진 사고방식을 확장하고 새로운 관점에서 바라보려고 하는 것을 말한다. 세상은 무지하게 빠르게 변화되어 간다. 우리는 그런 세상에 적응하고 개인적으로 성장하고 전문성을 길러야 한다. 지속적인 학습은 전통 교과 과정도 있을 수 있지만 요즘 세상은 다양한 것들이 많이 준비되어 있다. 자신이 학습을 하고자 한다면 정말 다양한 것들을 만날 수 있다. 여기에 자기 주도학습이 필요하다. 학습을 지속적으로 하는 것은 직면한 문제들에 대해 좀 더 창의적으로 접근하게 하는 과정을 만들어 준다. 당장에 어떤 해결책을 줄수도 있겠지만 미래에 만들어갈 것들에 대한 해결책들도 제공하게 된다.
새로운 지식과 기술 습득은 다양한 상황에 대한 판단력을 키워주고 더 깊게 이해하고 바라볼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준다. 이러한 지속적인 학습과정이 중요한 것은 학습 자체가 중요한 것보다는 자신을 발견하는 데 더 초점을 맞추어 나가야 한다. 풍부한 인생을 경험하게 되고 학습을 통해 얻은 지식을 다른 사람들과 나눔의 생활은 세상을 변화시키는데 일조하게 된다. 자신이 실제로 변화되지 않으면 타인도 변하지 않는다. 진정성 있는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지속적인 학습은 내적 힘을 개발시키고, 삶에 대한 다른 여러 도전들을 효과적으로 대처해 가는데 필수적 역할을 하게 된다. 학습은 더 나은 사람으로 만들고, 경험을 더 풍부하게 만드는 동력이 된다.
회복 탄력성이 중요하다.
지속적인 힘을 기르는 데 있어 회복탄력성만큼 중요한 것이 없다. 회복탄력성이라고 하는 것이 무언인가? 어려움이나 실패를 겪었을 때 원래 상태로 돌아갈 수 있는 상태가 바로 "회복탄력성"이다. 회복탄력성은 경험을 통해 성장하고 발전하게 한다. 스트레스나 위기 상황에서 긍정적인 방식으로 대처하고 상황을 극복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다. 회복탄력성은 자기 인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자신의 감정과 반응을 이해할수록 더 잘 관리가 되고 스트레스를 덜 받게 된다. 부정적인 상황에서도 이들은 학습의 기회로 만든다. 회복탄력성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건강한 관계들이 있어야 한다. 자신을 지지하고 인정하는 네트워크도 필요하다. 이는 정서적 안정감을 제공하고 스트레스에 대한 부담을 줄여 준다.
회복탄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자기 관리 기술도 개발되어야 한다. 건강한 생활 습관을 유지하고 정기적인 운동을 하며, 충분한 수면을 취하는 것이다. 외국의 격언에 "건강한 몸에 건강한 정신이 깃든다"는 말이 있다. 그만큼 건강한 몸을 만든다면 정신적으로 더 강해지고, 회복탄력성도 좋아지는 것이다. 회복탄력성을 긍정적 자기 대화를 말한다. 자신에게 언제나 긍정의 메시지를 전달함으로써 자신감을 높이고, 도전적인 것에 강하게 도전하게 된다. 어제 이야기한 자기 신뢰 회복도 결국 회목탄력성이 중요한 작용을 하게 한다. 회복탄력성은 도전하는 삶을 살고, 강하고 성숙한 인간으로 성장하는 요소가 된다. 회복 탄력성이 있는 사람은 실패와 시련이 실패도 아니고 시련도 아니라고 한다. 비 온 뒤에 땅이 굳어지는 것처럼 더 단단해지고 성장하는 기회라고 생각한다.
우리는 삶을 살아가면서 많은 도전을 하고 어려움을 겪는다. 이를 극복하게 하는 힘이 바로 지속하는 힘이라고 본다. 지속적인 학습과 회복탄력성을 통해 지속적인 힘을 구축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각각은 내적인 힘을 키우게 하고 삶의 질을 향상하는데 보탬이 된다. 지속적인 학습은 변화하는 세상에 적응하게 하고 새로운 문제들을 창의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지식을 습득하는 것뿐만이 아니라 새로운 관점으로 세상을 바라보게 하고 자신의 사고를 확장하게 한다. 지속적인 학습은 유연하고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다. 회복 탄력성은 실패와 어려움에 빠르게 극복하는 것을 말한다. 스트레스 상황에서도 긍정적인 마인드 셋으로 무장하여 대처하고 부정적인 상황이 도래해도 건강한 생활 습관과 강한 긍정적 자기 대화를 하게 되면 쉽게 돌아오게 된다. 이런 것들은 지속적인 자신만의 노력과 의식적인 실천을 요구하고 있다. 평상시 생활 속에서 꾸준히 실천해 가는 것이 중요하다. 지속적인 힘은 뚝딱 하고 도깨비방망이를 휘두르는 것처럼 되지 않는다. 다만, 우리가 끊임없이 노력을 기울인다면 만들어지게 된다. 세상은 넓고 할 일은 많다고 예전 김우중 회장의 자서전에 있던 말이다. 우리가 해야 할 수많은 것들을 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지속적인 힘을 기르는 것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백근시대의 삶(50대의 하루의 삶)'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복을 위한 세 가지 열쇠는? (68) | 2024.04.18 |
---|---|
디지털 세상에 삶의 변화 전략은? (84) | 2024.04.17 |
자기 신뢰 회복을 한다는 것은? (77) | 2024.04.15 |
시간을 거스르는 추억의 모자이크 (66) | 2024.04.14 |
길가에 들리는 조용한 속삭임 (60) | 2024.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