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백근시대의 삶(50대의 하루의 삶)

삶의 중심을 세우는 3가지 전략은?

by Coach Joseph 2025. 1. 15.
728x90
반응형

  인생을 살아가면서 많은 이들의 조언과 사회적 관습에 귀를 기울이며 살아간다. 다수의 의견을 따르는 것이 익숙해진 탓인지도 모른다. 민주주의의 원칙은 바로 "다수결의 원칙"이 있기 때문이다. 자신이 하는 결정이 부도덕하고, 부정적인 것만 아니라며 "자신만의 답"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자신만의 답을 찾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다. 답을 찾는 과정은 어쩌면 인생을 살아가는 과정에서 중요한 여정 중에 하나이다. 세상이 말하는 정답은 이미 정해진 것이지만, 언젠가는 또 다른 정답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세상이 정한 대로 살아가는 것은 자신을 잊어버리고, 다른 이들이 정해 놓은 기준으로 살게 된다. 이는 삶에 대한 만족감이 떨어지고, 삶이 공허하게 된다. 진정한 행복은 자신이 믿는 답을 따르고, 중심을 지키는 것에서 시작한다.

 

  더 나은 답을 찾는다는 무엇인가? 끊임없이 받는 질문일 것이다. 이는 스스로를 돌보고 수정해 가는 삶을 산다는 것이다. 사회적 성공을 위해 이 글을 쓰고 있는 것이 아니다. 삶의 크고 작은 선택들에 자신의 가치를 세우는 것이 모두 포함된다. 모든 과정에서 중요한 것이 세상의 답이 아니다. 자신이 만족하고 내면에서 옳다고 여기는 답을 찾아가는 삶이 중요하다. 자신의 삶에 중심을 잡는 것이다. 주변의 상황이나 환경, 조언에 흔들리지 않고 자신만의 방향을 설정할 수 있어야 한다. 중심을 가지지 못하며 돈, 명예, 타인의 평가에 흔들리게 된다. 돈이라는 요소는 중심을 가지는 것에 강력한 유혹이 된다. 많은 사람들이 돈을 중심으로 삶을 설계한다. 당장에 나부터도 돈에 자유롭지 못하다. 하지만 진정한 위험은 돈의 노예가 아니다. 생각의 노예가 되어 자신의 생각을 세상에 맡기고 자신을 잃어버리는 것이다. 그럼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 

What are three strategies for establishing the core of life?

 

  자신의 의견을 수정할 수 있어야 한다

  자신의 의견을 수정할 수 있는 것은 용기가 필요하다. 그래야 사막에서 오아시스를 발견할 수 있게 된다. 삶을 살아가면서 타인의 조언, 의견, 사회적 기준에 의존하는 경우들이 많이 있다. 어릴 적부터 들어오는 "이렇게 해야 성공할 수 있어. 이렇게 하는 것이 정답이야."라는 생각의 틀에 갇혀 벗어나지 못한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실패한다는 압박감 속에 삶을 살아간다. 무의식 속에 자리 잡은 생각은 자신도 모르는 순간에 불쑥하고 머릿속을 장악해 버린다. 중요한 것은 이것들이 삶을 대신 살아줄 수 없다는 점이다. 타인의 의견이나 조언은 그저 참고할 사항이지 그것이 자신의 인생을 대신해 주지 않는다. 병원에 가면 항상 듣는 이야기이다. "허리 통증으로 MRI를 찍는 것은 환자분의 선택입니다. 제가 어떻게 할 수 없는 부분입니다."라고 말이다.

 

  타인의 조언을 듣는 것은 분명 좋은 방법이지만 그것에 함몰되어 헤어 나오지 못하면 안 된다. 다양한 관점에서 타인의 의견을 구하고 자신이 놓친 부분이 무엇인지를 깨달아야 한다. 이런 깨달음이 없이 타인의 의견이나 조언대로 하게 되면 자신의 생각은 없어지게 된다. 따라서 타인의 조언은 "참고"의 수준을 넘어서면 안 된다. 그 의견과 조언을 존중하되 자신이 중심을 흔들거나 가치관을 바꾸는 일은 신중한 판단이 요구된다. 더 나은 답을 찾는 경우는 자신의 생각을 수정할 용기를 갖게 되면 더 나은 답을 찾을 수 있다. 지금까지 고수한 방법이 틀렸다거나, 옳지 않을 수 있다는 사실을 받아들이고, 새로운 관점에 대해 심도 있게 관찰하고 생각하는 열린 마음을 가져야 한다. 이런 과정이 반복이 되면서 더 나은 답을 향해가게 되고, 성장과 발전을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더 나은 답을 찾기 위해서는 첫 번째가 다양한 의견을 경청하고, 그 안에서 자신만의 기준을 만들어야 한다.

 

  삶의 중심을 잡아라

  삶의 중심을 잡는다는 것은 제일 어려운 것이다. 중심을 잡는 것이 한 가지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길에 주변을 보지 말라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자신의 가치관과 삶의 방향을 더 확고히 하고 흔들리지 않는 기준을 세우는 것을 말한다. 중심을 가진 사람은 외부의 평가나 세상의 변화에 흔들리지 않는다. 자신의 기준을 가지고 세상을 향해 걸어간다. "중용(中庸)은 공자의 손자인 '자사'가 저술한 책이다. 중용(中庸)은 논어, 맹자, 대학과 더불어 사서에 속하는 유교의 기초 학문이다. 중용에서 말하는 중심은 좌우로 치우치지 않고, 중간의 도를 지키는 것을 말한다. 이것의 진정한 의미를 무엇인가? 좌우를 경험하지 않고 어떻게 자신이 중심에 있는지를 알 수 있겠는가? 좌우를 경험한다는 것은 자신의 생각을 아집에 사로 잡히지 않고, 유연하게 생각하라는 말이다. 그래야 자신만의 중심을 잡을 수 있게 된다.

 

  현대 사회에서 삶의 중심을 잡기는 더 어렵다. 수많은 정보들이 생산이 되고 있고, 가짜 뉴스를 비롯하여 다양한 자신들만의 이야기를 쏟아 내기 때문이다. 자신의 마음에 중심이 없게 되면 수없이 흔들리는 사람이 된다. 또한 돈, 명예, 성공이라는 외부적인 것들이 자신을 시도 때도 없이 흔들어 놓기 때문이다. 돈의 삶의 목표가 된 것은 한 두 사람이 아니다. 돈 자체는 나쁘지 않고, 생활을 하기 위해 꼭 필요한 것이다. 문제는 돈이 삶을 지배하려고 하게 되면서 발생하게 되고 삶이 갈증과 불만족으로 이어진다. 삶의 중심을 잡기 위해 자신에게 끊임없이 질문과 성찰의 시간을 보내야 한다. 자신이 소중히 여기는 가치와 진정으로 행복하다고 느끼는 것을 정리하다 보면 돈이 삶의 목표가 되지 않을 수 있게 된다. 

 

  생각의 노예가 되지 마라

  삶의 목표가 돈이 되게 되면 자연스럽게 돈의 노예가 된다. 돈의 노예가 되면서 그 사람을 향해 수전노, 구두쇠라는 칭호를 준다. 하지만 돈의 노예는 돈이라도 만질 수 있다. 옛 말에 "친구 따라 강남 간다."라는 말이 있다. 좋게 해석하면 좋은 친구를 따라서 어디라고 함께 하겠다는 의미이다. 하지만 다르게 해석하면 "남들이 하니까 나도 따라서 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이는 자신의 판단을 다른 이들에게 맡긴다는 가장 무서운 적이 된다. 때로는 사회적 관습이나 자신이 만들어 놓은 틀에 사로잡혀 아무런 시도조차도 하지 못하며, 정해진 수순에 따라 자신도 모르게 가고 있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판단을 주저하면 미래가 없다."는 책을 읽은 희미한 기억이 있다. 결단력은 성공의 필수적 요소이고, 판단을 미루면 기회가 없다는 것이었다. 정보를 바탕으로 빠르게 결정하고, 작은 결정을 반복하며, 자신감을 키우라는 내용으로 기억이 된다. 사회적 관습이나 만들어 놓은 틀은 정보일 뿐이고, 결단은 자신이 해야 한다는 것이다. 

 

  생가의 노예가 되지 않기 위해서는 비판적 사고와 자아 성찰이 있어야 한다. 수많은 정보들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분석하고 판단하는 능력을 길러야 한다. 스스로 생각한 것이 타인의 기준에 부합시키기 위한 것인지, 아니면 자신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인지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누구나 머릿속은 복잡하다. 수많은 정보들로 인해 더 혼란스러울 때가 많이 있다. 다이어트를 하기 위해 약을 구매하려는 마음으로 검색을 해 보지만 생각의 노예가 되어 어떤 것이 더 효과적인지 결정을 못하고 있다. 결국 생각이 노예가 되지 않으려면 외부의 어떤 것들에도 흔들리지 않는 강인한 내면을 만들어 가야 한다. 이것이 자신만의 답을 찾는 길이고 세상이 요구하는 정답만을 고집하지 않게 된다. 


 

  자신만의 답을 찾아간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타인의 시선과 압박, 사회적으로 형성된 관념들이 삶에 커다란 무게감으로 짓누르고 있다 보니 삶의 중심을 잡는 일은 어렵게 된다. 하지만 타인이 자신의 삶을 살아주지 않는다. 부정하고 부도덕하며, 타인과의 관계를 심각하게 훼손하는 것이 아니라면 자신의 삶에 중심을 지키며 살아가야 한다. 타인의 의견과 조언은 참고의 대상일 뿐임에도 그것에 얽매여 자신이 하고자 하는 것을 꺾여서는 안 된다. 돈이나 외부적 성공이 삶의 중심이 되어 자신의 삶을 억눌러서도 안된다. 요즘 더 내게 다가오는 것들이다 보니 더 내 마음을 다지게 된다. 스스로의 생각을 지지하고 지키며 발전시켜 나아가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 자신만의 답을 찾기 위해 삶을 면밀히 살피고, 진정으로 행복한 가치가 무엇인지 살펴보아야 한다. 다만, 생각의 노예로 살아가면서 헤어 나오지 못하고, 어쩔 수 없이 따라가는 길은 만들지 말아야 한다. 자신이 진정으로 원하는 삶을 향해 나아가기 위한 결단력이 필요한 시점이지 않나 생각이 된다. 비로소 진정한 자유와 만족을 경험하기 위해서 말이다. 

 

  "당신의 지금 삶에서 가장 중요한 가치는 무엇인가?"

  "그 가치가 나만의 중심을 세우고 있는가?"

  "중심을 세운 가치를 떠올리며 당신이 살아가는 지금을 바라보면 어떤 생각이 드는가?"

 

https://bit.ly/HappyGrowth

 

백근시대

ChatGPT 강의 스마트폰 대인관계소통 코칭리더십(리더십) 강의 라이프코칭, 비즈니스코칭 매일 글쓰는 코치 머니프레임 머니코칭 은퇴자 변화관리 청년 현명한 저축관리 매일 글쓰는 코치 지금은

xn--6i0b48gw7ie1g.my.canva.site

지금은 백근시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