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더의 역할을 위한 리더십

명예와 지위를 바라보는 두 가지 시선은?

by Coach Joseph 2025. 1. 16.
728x90
반응형

  모든 사람은 세상에 태어나서 자신의 목표를 이루려고 한다. 태어나면서 본능적으로 목표를 세우기 시작한다. 비행기를 타고 뒤집고, 기어 다니고, 일어서고, 걷는 것 이 모든 것이 본증적으로 목표를 세우는 것이다. 이렇게 목표를 향해 가는 과정은 때로 삶을 힘들고 고통스럽게 하지만 성장을 하고 삶의 가치를 깨닫기도 한다. 이런 목표가 명예와 지위에 초점이 맞추어지면 빛과 그림자가 동시에 드러난다. 자연스럽게 얻어지는 명예와 지위는 많은 이들에게 존경과 신뢰로 이어지지만, 꾸역꾸역 만들어낸 명예와 지위는 사람들의 자유를 억압하고, 자신만이 옳다는 생각으로 그것을 강압적으로 관철하려고 한다.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명예와 지위를 둘러싼 갈등들이 나타나고 있다. 다양한 곳에서 나타나고 있으며 권력과 명예에 대한 갈망은 긍정적이고 생산적인 변화를 만들어 내기도 하지만 불합리한 강압과 부조리한 권위주의로 이어지기도 한다. 다른 이들에게는 공정한 잣대로 들이대면서 자신에게는 모든 것이 불합리하고 잘못된 것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다. 과연 그들이 많은 이들에게 존경과 신뢰를 얻을 수 있을까? 의문이 든다. 거짓이 난무하고 부정과 비리로 얼룩진 이들이 자유를 억압하고 공정성과 정의가 훼손되고 있다. 명예와 지위는 과연 삶의 필수적인 목표일까? 이때 우리가 가져야 할 태도는 무엇인가?

What are the two perspectives on honor and status?

 

  자유와 존중의 가치

  부정과 부패로 얼룩지지 않은 사람이 얻은 명예와 지위는 자신의 목표를 이루게 되면 존경과 신뢰의 대상이 된다. 억지로 누군가를 설득하거나 조작을 통해 얻어진 경우에는 강압적으로 자신의 뜻을 관철하려고 한다. 꾸준히 노력과 진정성 있는 태도를 통해 많은 이들의 마음을 움직이고, 자신이 가진 능력과 가치를 인정받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위대한 리더들은 자신만의 비전을 제시하지 않는다. 조직에 있으면서 리더로서 나만의 비전을 제시했던 적이 있다. 공통으로 하나 되는 비전이 아니라 리더 혼자만의 비전을 제시하고 나아가려는 태도가 조직을 빠르게 성장할 수 있도록 이끌지 못했다. 많은 사람들의 마음에서 오는 올바른 비전에 가슴에 새겨지게 하려면 리더 혼자만의 비전이 아니라 함께 공동으로 만들어 내는, 즉 진정으로 조직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가슴에 새길 수 있어야 한다. 

 

  자연스러운 명예와 지위를 얻기 위해서는 많은 이들에게 자유를 허용하고, 그들의 의견과 가치를 존중할 수 있어야 한다. 자유를 허용하는 것이 법과 원칙을 벗어난 방종이나 방임이 아니라, 자유가 많은 이들에게 이익이 되어야 한다. 자신만의 이익이 되는 것을 선택하는 것은 많은 이들을 강압적이고 억압하게 되고 이것이 자신의 가치뿐만이 아니라 타인의 가치에도 손상을 주게 된다. 따라서 강압과 억압 없이 스스로 행동과 성과를 통해 인정받아야 한다. 자연스럽게 많은 이들에게 신뢰를 불러일으키게 되고 그 결과로 명예와 지위도 얻게 된다. 이는 결과를 중시하는 것이 아니라 과정을 통해 형성되는 관계와 가치를 중시하는 것을 말한다. 현재 사회를 보면 혼자만 잘나서, 나만 옳다고 이야기하는 소수의 이들이 있어 안타까울 뿐이다.

  혼란을 넘어 신뢰로

  어떤 과정이 아니라 결과를 중시하면서 이것이 마치 성공처럼 보일 수도 있다. 결과가 만들어졌다고 해서 그것으로 마무리된 것이 아니다. 그것은 시작에 불과할 뿐이다. 그럼에도 강압과 자신의 뜻만을 관철하려는 이들은 많은 이들이 만들어 놓은 민주주의를 파괴하고 있고, 자유를 억압하고, 자신의 지위를 유지하기 위해 불합리한 방법들 마저도 동원하려고 한다. 이는 자신의 권력을 악화시키고, 사회를 혼란으로 빠뜨리는 결과를 낳는다. 사회적 문제들을 보면 결과로 얻어진 명예와 지위가 마치 자신이 만들어 내었다는 착각으로 사회에 부작용을 나타내고 있다. 강압적인 권위주의와 불통으로 이어지는 리더십으로 인해 혼란이 나타난다. 경제계에서는 어떤가? 온갖 공정하지 못한 방식으로 권력을 유지하려고 한다. '눈 가리고 아웅' 하는 식으로 진행해서는 안된다.

 

  결과에 충실한 명예와 지위는 장기적으로 많은 이들에게 외면을 당하고 많다. 한 사람의 권위가 억압과 강압을 통해 유지된다면 그것은 껍데기만 가지는 것이다. 그 힘에 당장에는 굴복할지 모르지만 역사적으로 경험을 했었던 이들이 이야기한다. 시간이 지나면 결국 만천하에 드러나고 역사의 심판을 받게 된다는 것을 말이다. 껍데기만 가지고 있게 되면 자신은 고립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명예와 지위는 노력과 진정성으로 얻게 된다. 이는 신뢰와 존경의 대상이 된다. 명예와 지위는 억지로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자신의 뜻을 강요하고 많은 대다수의 사람들의 말을 듣지 않게 되면 사회는 혼란에 빠지게 된다. 껍데기만을 얻는 리더가 되지 않기 위해서는 문제를 바로 보고, 변화를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 이는 함께 이루어 가는 것이고, 개인이 아닌 대다수의 공동체가 함께 노력을 해야 한다.


 

  명예와 지위는 노력과 진정성이 있을 때 신뢰와 존경의 대상이 된다. 강압과 억압, 부정적인 방법으로 얻는다면 그것은 껍데기에 불과하고, 사회적 혼란과 갈등을 초래한다. 목표를 이루는 과정에서 관계와 가치를 중시하고, 개인의 이익이 아니라 공동체의 자유와 가치를 위해 나아가야 한다. 강압적이고 독단적인 리더십과 권위주의는 사회의 외면을 받게 되고 역사적 심판의 대상이 될 뿐이다. 진정한 리더는 개인의 비전이 아니라 조직과 공동체가 원하는 비전을 만들어 가며, 자유와 공정성을 바탕으로 많은 이들의 신뢰와 존경을 받게 된다. 명예와 지위는 결과를 완성하는 동시에 과정에서 형성된 관계와 가치로부터 자연스럽게 이어진다. 껍데기만 가진 리더가 아니라 진정으로 많은 이들의 신뢰와 존경이 되는 리더가 되어야 한다. 변화와 노력을 멈추지 말고, 공동체와 함께 성장해 나가야 한다. 

 

https://bit.ly/HappyGrowth

 

백근시대

ChatGPT 강의 스마트폰 대인관계소통 코칭리더십(리더십) 강의 라이프코칭, 비즈니스코칭 매일 글쓰는 코치 머니프레임 머니코칭 은퇴자 변화관리 청년 현명한 저축관리 매일 글쓰는 코치 지금은

xn--6i0b48gw7ie1g.my.canva.site

지금은 백근시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