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655 지혜로운 사람이 되기 위한 5가지는? 지혜로운 삶을 살아간다는 것은 무엇인가? 지식을 많이 쌓으면 지혜로운 사람이 되는 것인가? 어떤 사람이 지혜로운 삶을 살아가고 있는가? 지헤로운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어떤 것을 갖추어야 되는가? 갑자기 읽게 된 내용에 인사이트를 받아 글을 적어본다. 인간은 살아가면서 똑똑하다는 말과 지혜롭다는 말을 혼동하면서 사용할 때가 있다. 똑똑한 것은 지식을 많이 쌓아서 학문적인 것을 많이 알고 있는 것을 말한다. 지혜롭다는 것은 학문적인 것이 아니라 삶의 방향성을 제시하거나, 어떤 일들을 현명하게 대처해 나가는 것을 말한다. 지식은 모든 문제를 해결해 주지 않는다. 지식으로 해결되지 않는 문제들이 정말 많이 있다. 수많은 지식을 쌓아 가지고 있는 의사들도 알지 못하는 병명이 많이 있다. 지식이 정답도 아닌 경우도.. 2023. 11. 14. 감정을 살피면 인생이 건강하고 풍요로 워 진다. 마음 챙김을 한다며 글 쓰는 것을 추천하고 있다. 느끼는 감정이 어디에서 온 거인지를 아는 것만으로도 삶의 활력이 올라간다. 감정은 인간의 삶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감정을 다스리지 못함으로 인해 특별한 병이 생기지 않았음에도 병이 있는 것처럼 열이 오르내리고 식은땀을 흘리게 되며, 가슴을 짓누르고 통증을 유발하며 공황장애라는 것을 겪게 된다. 큰 병이 아니라고 여길지도 모르지만 감정을 다스리지 않게 되면 위험한 큰 병이 될 수도 있다. 감정을 이해하고 조절하는 데 효과적인 질문법으로 소크라테스가 이야기한 '산파술'을 이용하면 된다. 현대에 와서는 "메타인지(metacognition)"이용하기도 한다. 메탄인지라고 하는 것은 자신을 아는 것과 자신이 안다고 착각하는 것을 파악하는 능력으로 자신을.. 2023. 11. 13. 여러분은 어떤 삶을 살고 싶은가? 용산역에서 열차를 기다리며 '조던 피터슨의 인간관계'라는 내용의 유튜브를 보다 뜬금없이 떠오른 생각이다. 이어 "너는 어떤 삶을 살고 싶니?" 질문을 던져 봤다. 누구나 한 번쯤은 던져 봄직한 질문이다. 50대 중반이 다 되어서야 질문을 던진다고? 내 인생은 지속적으로 어떤 삶을 살고 싶은지를 고민하면서 살았는데 그것뿐이었다. 어떻게 살아야겠다는 뚜렷한 것들이 없었다. 단지 사회초년병 때는 평범한 직장인으로서 조직에서 단계를 밟으며 보내는 삶을 살고자 했고, 시간이 남으면 봉사도 하면 된다고 생각했다. 그러다 보니 그저 돈을 벌기 위해, 가장의 책무를 다하기 위한 삶에 머물렀다. 대학원 공부를 하면서 보이는 것이 있다. 어제 비즈니스 코칭 수업시간에 교수님이 돈을 벌겠다는 목적으로 제안서를 작성하지 말라.. 2023. 11. 12. 내 인생의 주인공은 나야 나! 삶은 누구를 위한 삶인가를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진다. 내가 존재하고 사는 삶은 자신을 위한 삶이 되어야 한다. 비굴하게 사는 것이 아닌 재미있는 삶을 위해 오늘도 노력 중이다. 추워지는 이 순간 대학원을 가기 위해 열차 안에 있는 자신을 보면서 고민의 고민을 해 보는 것은 어쩌면 당연함이다. 엊저녁 삶을 잘 살아가도록 이끌어준 형님들과 함께 하며 나 자신을 바라보았다. 그동안 어떤 삶을 살았는지는 모르지만 나를 생각해 주는 분들이 있음에 행복한 마음이 든다. 내가 살아온 삶에 최선을 다해 보낸 모습에 감사함을 생각한다. 내 인생을 사는데 내가 주인이 되어야 하지 않은가? 맞는 말임에도 주인으로서 삶을 보내지 못했나 보다. 이제야 그걸 느끼는 모습에 안타까움과 아쉬움이 남는다. 왜 그동안 내 삶을 살지 .. 2023. 11. 11. 이전 1 ··· 110 111 112 113 114 115 116 ··· 164 다음